파라솔정자

이미지
명품 파라솔정자 지붕규격 432x324cm, 보령오석 받침석 장263x폭110x고45cm 127 파라솔 정자 팔각지붕 Ø300cm 파라솔정자 리스트

양평 원두막

이미지
양평 원두막 193 슁글지붕 원두막 마루 350x230cm 자세히 보기 194 슁글지붕 원두막 마루 300x200cm 자세히 보기 190 슁글지붕 원두막 마루 369x221cm 자세히 보기 2층지붕 원두막 572x375x630cm 1층 572x375x276cm, 2층지붕 295x240x105cm 자세히 보기 132 3층지붕 원두막 572x375x630cm 보수중 자세히 보기 사업자등록번호 132-20-52045 건설업/조경공사 정원조경 대표 김창호 홈  |  회사소개  |  팔각정자 황토방  |  그네  |  원목좌탁 명품원두막  |  파라솔정자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75번지 정원조경 010-4025-2435

원두막 파라솔 정자

이미지
파라솔 정자입니다. 파라솔 정자는 마루가 없어서 장시간 지내기가 불편하지만 잠시 더위를 피하거나 차 한잔 마실 그런 용도입니다. 파라솔 정자는 기둥이 하나인 관계로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현장에 설치된 4각 원두막은 5톤카고크레인 정도면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5톤 카고는 차가 다리를 보조 다리를 빼고 안장을 해서 설치 위치가 보통 8미터 이내의 거리면 설치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사의 거리는 25톤 크레인 작업이나 현장에서 조립을 해야 합니다. 원두막 공장도 가격 제작 판매 설치, 원두막 보수 작업해 드림니다. http://jogyeong.net/wondumak/

의흥 소나무 특수목 미니정원수

이미지
의흥 소나무 특수목 미니정원수 011-842-1410

조경이란?

아름답고 유용하고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문적·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토지를 계획·설계·관리하는 예술. 조경은 회화·조각·산업디자인·건축·토목·도시계획 등의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또한 조경은 예술이자 기술이고 사회적 수요의 산물이며, 심미성과 기능성과 공공성은 조경의 기본적 특성이자 조경이 지향해야 할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은 인간에게 선험적으로 주어진 생존조건의 총화이며, 인간은 유사 이래로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지속해왔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인간은 환경을 의도적으로 변화시켜왔는데, 이러한 변화의 결과물 혹은 그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인간행위를 광의의 조경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경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성을 강조하는 근대적 의미의 조경은 1860년대를 전후하여 미국의 A.다우닝, F.옴스테드, C.엘리어트 등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었던 '공원운동(Public Park Movement)'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구에 있어서 조경은 산업혁명과 도시화의 악영향이었던 도시 위생문제에 대처하고 노동계층의 여가공간을 마련해 주기 위한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그 이전의 조경은 대개 사적(私的)인 조원(造園)행위에 국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경이라는 말은 1858년 F.옴스테드와 C.보가 조경가(landscape architect)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이후 보편화되었다. 조경은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필요성의 변화에 따라 그 성격을 달리해 가며 인간 정주환경의 개선에 이바지하여 왔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무분별한 도시화와 도시팽창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원적인 도시환경을 창조하고 도시미를 고양하는 방향으로 조경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도시미운동(City Beautiful Movement)'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여러 예술 분야의 모더니즘운동과 맥을 같이하면서 뛰어난 조경가들과 조경작품들이 탄생되었으며, 도시 근교의 대규모 ...

나무의 휴면과 충격에 관한 대처방법

나무가 아파하는 이유는 많다. 그중 물을 말림으로 인한 뿌리에 충격을 받은 경우가 가장 많은것 같다. 겨울에도 나무에 물을 주어야 하는데 물을 주지 않음으로 인하여 실패하는 경우를 가끔 보았다. 분재를 두는 장소와 온도, 분 토에 따라서 약간은 다르지만 겨울에도 2~5일에 한번의 물을 흠뻑 주어야 한다. 밤 규칙적으로 주어야 하지만 물을 전혀 먹지 않는 녀석들은 1주일에 한번 정도 흙 표면이 거의 다 마를 때까지 말리어 주어야한다. 또한 여름의 물 관리에서 오는 경우도 많다. 특히 여름에는 부분 흡수량이 많기 때문에 하루 2회의 물주기를 해야 한다. 그러나 부득이한 이유로 인하여 물을 한번 주지 못한 경우에 나무가 마르게 된다. 여름에 물을 조금 늦게 준다든지, 나무뿌리가 흔들린다든지 이상이 생기면 초기에는 잎이 아래로 처지며 새순이 자라지 못하고 성장이 멈추게 된다. 뜨거운 여름에 물 부족으로 인하여 이상상태를 보이면 버틸 수 있는 시간은 3시간 전, 후가됨으로 시간을 다투게 된다. 분 토 속까지 완전히 말릴 경우에 4~5시간이 지나면 역 삼투압 현상이 되기도 한다. 잡목의 경우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하여 약하게 충격을 받으면 새순이 고개를 숙이며 조금 더 마르면 잎의 테두리가 마른다든지 가지 끝만 마르는 경우가 그렇다. 충격 상태에 따라서 심하면 가지와 주간까지 충격을 받고 더욱 심하면 결국은 고사하는 것이다. 사람은 몇 끼 먹지 않는다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나무는 한정된 분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한끼만 먹지 못하면 다시는 살릴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이 된다. 아울러 회복의 상태도 물을 말린 정도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며, 품종에 따라서 다르게 된다. 송백류의 경우는 건조에 강함으로 좀처럼 충격을 받지 않지만 잎의 색상이 한번 변하면 회생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송백류는 물을 말리어 충격을 받았다 하여도 금방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며칠 후 또는 몇 개월 후 결국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잡목의 경우 새순이 조금 숙을 정도 ...

소나무 해부학적 특성

소나무 해부학적 특성 ◎ 소나무는 Cory, H.A, Cote & W.A, Doy 다섯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침엽수는 2가지 형태의 세포인 가도관과 유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 가도관은 침엽수 체적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길이가 길고 좁은 세포로서 대부분 길이는 직경의 100배이다. ◎ 가도관의 길이는 목재의 강도적 특성과 제재목 치수안정성과 관련있는 수축물과 관계가 있는 중요한 인자이다. ◎ 수종별 가도관의 평균길이는 잣나무가 2.8mm, 소나무[적송]이 2.6mm, 곰솔 2.9mm이며 강송이 2.5mm인 반면 외국수종인 미송의 경우 3.5mm이고, 남부소나무의 경우 3.0mm∼3.6mm로 우리나라 소나무의 가도관의 길이보다 길다. 물리적특성 ◎비중은 목재사용에서 다른 특성보다 중요하고 목재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목재의 강도, 펄프의 생산량과 접합했을 때 틀어짐과 쪼개짐 등과 관계가 깊고 가공상의 도장, 절삭 등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 비중은 목재의 생장과 관계가 있어 생산하는 임목생산에 주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 우리나라 소나무의 수종 비중은 강송이 0.48로 미송과 같으며 소나무는 0.47로 약간 낮으며 곰솔이 0.54로 0.51인 로브로리소나무 보다 높으며, 잣나무는 0.45로 0.40이하인 남부 소나무류 보다 크다. ◎ 수축과 팽창은 목재나 결합수 이동에 의한 치부변화이고, 수축은 목재사용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며 목재로 만든 틀어져 잘 닫히지 않고 가구에서 조인트부분의 결함 마루판의 설치 후 일어나는 결함 등을 유발한다. ◎ 소나무의 수축율이 경단 방향에서 미송이 5.0%, 로브로리소나무가 4.8% 폰다로사소나무가 3.8%인 반면 우리 수종인 소나무가 2.9%로 가장크고 강송이 2.6%, 곰솔이 2.4% 잣나무가 1.8%이다. ◎ 촉단방향에서는 미송이 7.8%, 로브로리소나무가 7.4%, 폰다로사 소나무가 6.3%인 반면 소나무가 5.4%로 가장 크고 강송이 5.1%, ...